본문 바로가기
식물

미니 감 보러 오세요 - 고욤나무

by Newsman 2021. 9. 16.
반응형

어린 시절 벼농사를 하셨던 할머니 댁에 추수를 도우려 가면 마당에 작은 감처럼 생긴 나무 열매를 보곤 하였는데요. 할머니는 꼼이라며 먹어보라 하셨고 그 맛이 정말 달아 아직도 기억이 나곤 합니다. 할머니가 말하셨던 이 꼼의 정확한 이름은 고욤나무입니다. 오늘 이 고욤나무에 대해서 살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 고욤나무

고욤나무-열매
고욤나무-열매

♠ 고욤나무 특징

 

● 이름 특징

고욤나무는 고양 나무라고 하거나 소시라고도 합니다. 학명은 Diospyros lotus이며 영어 명칭은 date plum입니다. 우리가 상식적으로 하나 알고 가볼 만 것은 lotus라는 말은 연꽃의 연을 의미합니다. 또한 영어 표기의 date는 대추야자나무의 열매를 말하며 plum은 자두를 의미합니다. 

 

● 나무 특징

최대 크기는 10m까지 자란다고 하는데, 주변 산이나 예전 기억으로도 이 나무는 2m 정도이지 10m까지 자라 있는 나무는 보기 힘든 거 같습니다. 나무의 몸이나 가지나 잎등은 감나무목이다 보니 거의 비슷하게 생겨 있습니다. 열매는 사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미니 감이라 설명드리면 제일 좋을 것 같네요. 사진은 제가 최근에 찍은 것으로 이 상태에서 감처럼 노란색으로 익어가며 나중에는 검은빛이 돌 때까지 상태가 변합니다. 예전에 달콤하게 먹었던 기억은 아마도 검은빛을 보일 때였다고 생각이 드는군요. 지금 사진 정도의 열매를 먹게 되면 바로 뱉을 모습이 상상되는데요. 떫어서 먹지 못합니다.   

 

고욤나무는 산 시작 부분이나 마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고 하는데요. 저는 최근에 산에서 이 나무를 발견한 거 말고는 잘 보지 못했습니다. 아무튼 산에서는 산비탈에서 주로 발견이 됩니다. 사실 고욤나무는 감나무의 엄마 격이 되는데요. 왜냐하면 이 고욤나무에 우리가 알고 있는 감나무 가지를 접목하면 감나무가 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신기한 나무이지요. 또, 재미난 점은 우리가 먹는 감나무에 열매를 따지 않고 몇 년간 그대로 방치하면 그 감나무는 다시 고욤나무처럼 열매가 줄어든다고 합니다. 감나무가 더 이상 자기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해서라고 합니다. 정말 신기하다고 생각됩니다. 심마니 분들이 하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요. 이 고욤나무 근처에는 동중하초가 자랄 가능성이 있다고 하며, 그 이름은 군천자 동중하초라고 하거나 청가시 동중하초라고 합니다.  

 

♠ 고욤나무의 효능

예전에 덜 익은 열매를 콧구멍에다 넣어 장난치던 기억도 있고 겨울쯤이 되면 할머니가 미리 따 숙성(?) 시킨 아주 달콤한 맛이 나는 열매 정도로만 생각했는데 이 고욤 열매 생각보다 효능이 많더라고요. 성분도 탄닌, 다양한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고요. 그중에서 몇 가지 중요하게 볼만한 효능을 살펴봅니다.

 

예전에 의서들에는 고욤나무 잎의 효능이 일반 감나무보다 우수하다고 하며 난치병을 치료한다라고 적혀 있다고 합니다. 난치병을 치료한다는 얘기는 그렇게 힘을 주면서 들을 부분은 아닌듯하고 다만 건강에는 이롭다고 하니 잎을 차로 활용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열매꼭지는 예전에 아이들 딸꾹질할 때 멈추는 용도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고욤나무 열매는 말려 한약재로 사용하는데요. 그 이름은 군천자입니다. 이 군천자를 사용하는 것은 당뇨로 인해 피가 탁해지는 경우라고 합니다. 덜 익었을 때 열매를 먹으면 떫다고 하였는데요. 그 이유는 바로 탄닌(tannin)성분 때문입니다. 이 탄닌은 심혈관질환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 하나 귀에 쏙 들어오는 효능이 있었는데요. 탄닌이 니코틴 배출을 도와줄 수 있다고 하는 점입니다. 흡연자 분들이 금연이 제일 좋겠지만, 그게 마음처럼 쉬운 게 아니니 한 번 도전해보아도 좋을 듯합니다. 

 

오늘 이렇게 미니 감이 달린 고욤나무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미 알고 계시는 분들도 있으시겠지만, 늘 모르시는 분들에게 조금의 정보를 전달한다는 마음으로 글 쓰고 있는바 조금의 도움이라도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늘 감사드립니다.  

반응형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의 식물 산수유  (0) 2021.09.22
이름이 너무 귀여운 애기똥풀  (0) 2021.09.19
닭의장풀(달개비) 이야기  (0) 2021.09.12
며느리라는 이름의 식물들  (0) 2021.09.07
음나무(엄나무)에 대한 정보  (0) 2021.09.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