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

구기자에 대해서

by Newsman 2021. 9. 29.
반응형

오늘 소개해 드리고 싶은 식물은 바로 구기자입니다. 정확하게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를 구기자라 하는데요. 오늘 이 구기자에 관해서 여러 가지 사항을 알아보려 합니다. 지금 바로 시작할게요. 

 

♧ 식물 이야기

 

♣ 구기자나무 열매 구기자

구기자-섬네일
구기자-섬네일

 

● 이름의 특징

 

헛개나무의 가시와 버드나무와 닮아 구기자라 하였으며, 열매는 9가지 큰 효능이 있다고 하여 구기자로 부르기도 한다 합니다. 학명은 Lycium chinense이며, 영어 표기는 Goji (berry)라고 합니다. Lycium이라는 단어는 낙엽이 떨어지는 종이며, 가시가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 식물의 특징

 

예전 시골지역 마을 근처나 냇가에서 흔히 보던 식물입니다. 지금은 시골지역이라고 막 보이는 것은 아닌듯합니다. 높이는 대부분 1~2m 정도인데요. 뭔가 기댈 것이 있다면 조금 더 자란다고 합니다. 가지에 가시는 있는 종도 있고 없는 종도 있다고 합니다. 잎의 모양은 사진에서 충분히 설명이 될 듯하며 열매는 산수유와 오미자가 닮아 있어 구별을 힘들어하시는 분들도 보았는데요. 이전 포스팅에 어떻게 구별하는지 알려드렸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간단하게 하나 말씀드리면 구기자는 아주 어린 고추의 모습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2021.09.22 - [식물] - 가을의 식물 산수유

 

가을의 식물 산수유

오늘 선택한 주제는 산수유입니다. 산수유라는 말은 많이 듣고 계시리라 판단하면서도 오늘은 조금 더 자세한 정보를 드리고 싶은 마음에 이렇게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지금부터 산수유에

24-7-news.tistory.com

 

6~9월 사이에 자주색 꽃이 피는데요. 아쉽게도 사진에 담지는 못했습니다. 나름 인상적인 꽃이니 한 번 찾아보시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이 꽃이 지면 열매가 익어가는데요. 다시 말해드리지만 이 열매를 구기자라 합니다. 

 

● 구기자나무 활용 및 효능

 

구기자나무의 어린잎 순을 나물로 활용하기도 하고, 어느 정도 자란 나뭇잎과 열매는 차나 약으로 활용을 하게 됩니다. 이웃 분들 중에는 열매와 잎을 같이 넣고 술을 담그기도 하십니다. 건강 약주로서 활용해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한의학에서 구기자나무 뿌리껍질과 열매를 말려 약재로 활용하는데요. 열매 약재 이름은 그대로 구기자이고, 뿌리껍질 말린 약재는 지골피라고 합니다. 

말린-구기자
말린-구기자

지골피의 효능은 폐질환 특히 폐결핵에 사용한다고 하며, 당뇨병에도 효과가 있어 사용한다고 합니다. 약술과 차로도 비슷한 효능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제 열매인 구기자의 효능을 살펴보겠습니다. 

 

구기자는 3대 명약으로 불리는데요. 그 이유 중 하나가 바로 베타인이라는 성분 때문입니다.

※ 베타인(Betaine)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항지간작용, 혈압 강하, 항 혈당 작용, 시력의 회복, 해독, 세포 복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최근에 인기를 끌고 있는 물질. 오징어, 문어, 새우 등에서도 발견되는 물질이지만, 비트나, 무, 구기자 등에서도 발견되는 물질이다.

제일 많이 알려진 효능은 간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입니다. 따라서, 지방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구기자는 혈압 조절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단순히 혈압 조절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구기자는 몸에 열이 많은 사람에게 효과를 보이는 약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피로 해소의 효과도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 주의 사항

 

알려진 독성 물질은 없으나, 몸이 차가운 분들에게는 효과가 별로 없다고 알려져 있으며, 구기자는 예상외로 체중을 늘리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니 다이어트와는 상극인 셈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구기자의 여러 가지 사항들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몸에 좋다고 그것만 고집해서는 안된다고 여러 번 말씀해 드렸는데요. 적당히 마시면, 인스턴트보다는 좋다는 생각으로 드셔 보기를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나무 성장 과정 및 효능  (0) 2021.10.12
가을의 식물 산수유  (0) 2021.09.22
이름이 너무 귀여운 애기똥풀  (0) 2021.09.19
미니 감 보러 오세요 - 고욤나무  (0) 2021.09.16
닭의장풀(달개비) 이야기  (0) 2021.09.12

댓글